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네트워크이론

[라우터] 라우팅 테이블

라우터란?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간의 경로 ( Route )를 설정하고 가장 빠른 길로 트래픽을 이끌어주는 네트워크 장비
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어떤 형식으로든 네트워크가 외부의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되야 하고,
이를 위해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을 연결하는 장비인 라우터의 비중이 높아 졌다.

< 라우팅 테이블 ( Routing Table ) >
라우터는 이 라우팅 테이블에 기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에게 보내온 패킷을 어디로 전달할 지 결정한다.
정적 라우팅 - 관리자가 직접 라우터에 대해 접속하려는 상대 라우터를 지정하는 방식
     - 라우터 자체의 부하가 적고 회선 대역폭의 효율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 모뎀이나 브로드 밴드 네트워크와 갈이 필요할 때만 연결하는 환경에서 주로 이용됨
동적 라우팅 - 라우터가 자체적으로 라우터끼리의 접속 정보를 주고 받아 라우팅 테이블이 자동 갱신되는 방법
     - 장애가 발생된 라우터가 라우팅 정보에서 자동으로 제거됨으로써 네트워크 장애의 영향을 피할 수 있다.
     - 일부 라우터가 사라지거나 추가되도 항상 최적의 경로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 최적 경로 찾기의 조건 >
라우티드 프로토콜 ( Routed Protocol )
- 라우터가 라우팅 해주는 대상
- TCP/IP, IPX, Apple Talk 등

라우팅 프로토콜 ( Routing Protocol )
- 라우터가 라우티드 프로토콜들에게 목적지까지 가장 좋은 길을 갈 수 있게 해주기 위해 사용하는 것
- 라우팅 알고리즘이라고도 하며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에 자기가 찾아갈 경로에 대한 정보를 기억해 둔다.
- 라우팅 테이블에는 주로 목적지, 목적지까지의 거리, 어떻게 가야하는가에 대한 내용이 있다.
- 라우팅 프로토코에 따라 목적지까지의 최적경로를 찾는 조건들이 틀려진다.
- 거리 계산 방식 ( Distance Vector Advertisement ) : 네트워크 어드레스에 대해 거리 ( 홉 수 ),
     방향 ( 라우터의 어느 포트인지 ) 정보를 다른 라우터로 보내 라우팅 테이블의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
     RIP, IGRP, EIGHP 등
- 연결 상태 방식 ( Link State Advertisement ) : 대역폭, 전송지연, 회선 신뢰도, 부하 등을 적절히
    조합하여 최적의 경로를 찾는다. 즉, 여러 홉을 거치더라도 회선 속도가 보다 빠른 방향으로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OSPF, IS-IS, NLSP 등

<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 >
RIP ( Routinf Infomation Protocol )
- 라우터 내의 게이트 웨이 호스트는 전체 라우팅 테이블을 가장 가장 가까운 인근 호스트에 매 30초마다 전송한다.
- 홉의 총계를 네트워크 경로를 설정하는데 사용한다.
- 복잡하고 규모가 큰 네트워크에서는 RIP가 전체의 라우팅 테이블을 매 30초마다 전송하는 것은 네트워크 내에 
  엄청난 추가 부담을 준다
- 최대 16홉을 넘지 못한다. ( 16홉 이상되면 데이터가 소실된다. )
- 속도가 빠른 네트워크가 5홉, 낮은 네트워크가 3홉인 경우 홉스를 체크하여 3홉의 낮은 네트워크로 이동하는 단점
- 액티브 사용자 : 자신이 속해 있는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그램 패킷을 통해 매 30초마다 라우팅 정보 브로드캐스트
- 패스트 사용자 : RIP 정보를 수신해 경로를 갱신하지만, 스스로 라우팅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다.

 r1(config)# router rip
 r1(config-router)# net network address   // Subnet Mask 지정하지 않는다.


OSPF ( Open Shortest Path First - 최단 경로 우선 프로토콜 )

- 대규모 자율 네트워크에서, RIP에 우선하여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
- 라이팅 테이블의 변경 사실이나, 네트워크 내의 어떤 변화를 감지한 호스트는, 즉시 그 정보를 네트워크 내의 다른
  모든 호스트들에게 알림으로써, 모두 같은 라우팅 정보를 공유한다.
- RIP는 라우팅 테이블 전체를 보내나, OSPF는 오직 변경된 부분의 정보만 전송한다.
- RIP은 매 30초 마다 라우팅 테이블을 인접한 호스트에 보내지만, OSPF는 변경이 발생했을 경우에만 변경된 정보를
  멀티캐스트한다.
- 추가적인 네트워크 정보를 참작한 링크 상태 상에서 그것을 경로 등급을 기반으로 한다.
- 사용자가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몇몇 경로들에 대해 우선권을 부여 할 수 있다.
- 하나의 네트워크가 세분될 수 있도록, 다양한 네트워크 서브넷 마스크를 지원한다.
- 프로토콜 자체가 복잡하여 구성과 관리가 어렵다

 r1(config)# router ospf
 r1(config-router)# net network address wildcard area #


IGRP (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
- 시스코에서 독자적으로 개발
- RIP와 유사하게 홉 수를 기준으로 정보를 전송
- 회선의 전송 능력, 전송 지연 시간, 회선의 사용율, 신뢰성을 바탕으로 라우팅 경로를 결정
- 복수 경로에서 로드 밸런싱 기능 지원

 r1(config)# router igrp
 r1(config-router)# net network address wildcard
 r1(config-router)# no auto

'네트워크 > 네트워크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우터] ACL  (0) 2010.06.18
[스위치] 스위치의 구분  (0) 2010.06.18
[네트워크] 소켓의 동작모드  (0) 2010.06.18
[네트워크] 포트스캔의 이해와 구현  (0) 2010.06.18
[스위치] VLAN ( Virtual LAN )  (0) 2010.06.18